네이버 국어사전

 

한글은 우리에게도 쉬우면서 어렵습니다. 회화는 어렵지 않은데 글을 쓸 때 참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은데요. 그 이유는 한글에 있는 받침 문자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. 

 

이런 애매한 표현들을 찾아볼 수 있는 서비스로 네이버 국어사전을 추천드립니다. 

 

네이버 국어사전 

네이버에서 "국어사전"을 검색해주세요. 그러면 아래처럼 첫 번째 링크에 네이버 국어사전이 바로 있습니다. 클릭하여 접속해주세요. 

네이버에서 국어사전을 검색

 

사전 페이지에 접속되었습니다. 사전 홈 상단을 살펴보시면 영어 국어, 한자, 등 수많은 외국어 사전을 볼 수 있습니다. 

관심 있으신 것은 나중에 직접 살펴보시길 바라요. 지금은 국어사전에만 집중해보겠습니다. 

국어사전 페이지

아래로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면 단어 퀴즈, 단어장, 주제별 찾기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 

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"우리말 바로 쓰기" 항목입니다. 

 

우측 사이드에 "우리말 바로 쓰기" 버튼을 누르면 해당 기능의 메인페이지로 이동이 됩니다. 

 

사전 내용

 

우리말 바로쓰기 페이지로 왔습니다. 살펴보니 총 7,775건에 우리말 바로쓰기 항목이 있고 이를 분류하는 13가지 카테고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. 

 

본 포스팅의 주제인 헷갈리는 표현을 찾기 위해선 "맞춤법"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셔야 합니다. 

맞춤법 카테고리 선택하기

 

 

2,327건이 검색되었습니다. 정렬은 조회수 높은 순으로 정렬이 되어있습니다. 

첫 번째가 개수와 개수의 바르 표기인 것을 보면 이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다는 뜻일 겁니다. 

 

저는 여기서 "설거지"와 "설겆이"의 차이가 궁금해서 들어가 보았습니다. 

맞춤법은 2,372건이 검색됩니다

 

맞춤법 근거는 국립국어원이며 이 표현에 대한 조회수는 18만 가까이 됩니다. 

 

답변을 보면 어째서 설겆이로 쓰지 않는지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. 

설겆이와 설거지

 

 

이밖에도 수많은 애매하고 헷갈리는 표현들이 있으니 궁금하신 것들은 직접 찾아보시길 바랍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2022년 대체공휴일 정리 A to Z

2022년이 한 달도 남지 않았는데요. 2022년의 대체공휴일은 언제 언제일까요? 더불어 여러분이 쉴 수 있는 총공휴일은 며칠이나 될까요? 한 해가 마무리되는 이 시점에 내년은 또 얼마나 쉴 수 있

able-to-po.tistory.com

 

 

내 숨은 보험금 조회 방법 토스 앱으로 1분만에 조회

토스 앱을 이용하면 숨어있는 나의 보험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정부사이트도 있긴 하지만 저는 토스앱이 훨씬 편리하더군요. 아래에서 내 숨은 보험금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

able-to-po.tistory.com

 

 

오지다 조지다 뜻 비속어 인듯 아닌듯한 표준어

10대들이 잘 쓰는 용어를 일명 급식체라고 하는데 이 중 오지다와 조지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가끔 아이들이 쓰는 용어 중에 모르는 단어들이 들리면 신조어인가 했었는데요. 알고 보

able-to-po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
-->